울산에서 받을 수 있는 출산장려금은 자녀의 출생 순위와 거주 지역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울주군의 경우 셋째 아이를 출산하면
국가지원인 '첫만남 이용권' 300만 원과
울주군 출산장려금 500만 원을 합쳐
최대 800만 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울산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지원금입니다.
다른 지역의 경우,
첫째 아이 출산 시 중구와 울주군은 70만 원, 남구, 동구, 북구는 60만 원을 지원합니다.
둘째 아이의 경우, 중구, 남구, 동구, 북구는 100만 원을, 울주군은 250만 원을 지원합니다.
셋째 아이 이상부터는 울주군이 500만 원을 지원하며, 이는 10회에 걸쳐 분할 지급됩니다.
이처럼 울산 내에서도 지자체별로 지원금액과 지급 방식에 차이가 있으므로,
거주 지역의 정책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울산광역시의 각 구·군에서는 출산장려금을 비롯하여
다양한 출산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지자체별 지원 내용을 정리한 표입니다
첫째아이 | 둘째아이 | 셋째아이 | ||
중구 | 70만 원 | 100만 원 | 100만 원 | 한우+미역세트 제공 |
남구 | 60만 원 | 100만 원 | 100만 원 | 한우+미역세트 제공 |
동구 | 60만 원 | 100만 원 | 100만 원 | 한우+미역세트 제공 |
북구 | 60만 원 | 100만 원 | 100만 원 | 한우+미역세트 제공 |
울주군 | 70만 원 | 250만 원 | 500만 원 | 분할 지급 |
또한, 남구에서는 장애인 가정을 위한 출산장려금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출생아의 부모 중 1명 이상이 등록장애인인 경우,
심한 장애인 가정에는 100만 원,
심하지 않은 장애인 가정에는 70만 원을 지원합니다.
출산장려금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출생일 기준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지자체에 거주하고 있어야 하며,
신청 기한 내에 필요한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울주군의 경우 출생일 기준 6개월 전부터 울주군에 거주하고 있어야 하며,
신청 기한은 출생일로부터 12개월 이내입니다.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비서류로는
출산서비스 통합처리 신청서, 신분증, 통장사본 등이 필요하며,
지자체에 따라 추가 서류가 요구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울산광역시의 출산장려금 제도는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입니다.
각 지자체의 지원 내용을 잘 파악하여 최대한의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충남 육아부담 경감지원금 지급 대상 및 신청 방법 (3) | 2025.06.17 |
---|---|
전라북도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신청방법 및 꿀팁 (1) | 2025.06.15 |
인천 신혼부부 전세 자금 대출 이자 지원 신청하기 방법 안내 (4) | 2025.06.08 |
세종시 다자녀 가정 교통비 지원 정책 총정리 (0) | 2025.06.07 |
부천시 출산 장려금 종류 및 신청 방법 총정리 (3) | 2025.06.06 |